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戊 무토일간, 무토의 개요와 특성 戊 무토의 개요와 특성 천간 중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특성: 양 / 토 / 늦여름. 만물을 포용하는 드넓은 힘이다. 무토는 넓게 깔려 사방으로 뻗쳐 나가는 힘이다. 무토를 보통 넓은 땅이라고 하는데, 끝이 보이지 않는 광활한 대륙을 의미하는 힘이다. 절정에 다다른 양기가 넓게 깔려 사방으로 뻗쳐 나가는 힘이다. 단순히 땅이라는 물상보다 땅의 힘에 집중해야 하는데, 모든 것을 담기 위해 끊임없이 옆으로 퍼져가는 기운이 무토의 본질이다. 스케일만큼 큰 허풍 양기는 병화의 단계에서 극에 이르고, 정화의 단계에 오면 강하게 뭉친다. 뭉친 양기는 바야흐로 무토의 단계에 이르러 사방으로 흩어진다. 얇고 넓은 것 가리지 않고 영역을 확장하고 보는 것이 무토의 본질이다. 구체적인 물상으로는 개간되지 않은 황무지.. 2024. 1. 15.
丁 정화 일간, 정화의 개요와 특성 丁정화의 개요와 특성 천간 중 네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특성: 음 / 화 완연한 여름. 지상에 더운 기운이 가득 차 있는 상태다. 정화는 주변을 강렬하게 데우는 기운이다. 정화는 멀리 뻗어 나가지는 않지만 병화보다 더 더운 기운으로 열기를 발산한다. 구체적인 열로, 만물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생명력을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병아리를 부화시키는 것은 햇빛이 아니라 어미의 체열이다. 가까운 곳을 비추는 '촛불', '달빛', '조명'이 정화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물상이다. 기호로 보면 옆쪽에 해당한다. 온기의 힘 정화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온기로 주변을 평안하게 한다는 점이다. 10개의 천간 중 병화가 가장 밝은 기운이라면, 정 화는 따뜻하고 충만한 열기로 가득 찬 기운이다. 정화는 주변 사람들.. 2024. 1. 14.
丙 병화 일간, 병화의 개요와 특성 丙병화의 개요와 특성 천간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특성: 양 / 화 / 초여름. 맹렬하게 이글거리는 기운이다. 병화는 사방으로 거침없이 발산하는 기운이다. 병화의 물상은 태양으로 볼 수 있고,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발산하려는 것이 병화의 본질이다. 높이 떠서 멀리 비추는 것이 병화의 핵심이다. 속이 텅 빈 상태에서 거침없이 밖으로만 쏟아내는 에너지다. 태양의 힘 병화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높이 떠서 멀리 비춘다는 것이다. 10개의 천간 중 가장 강한 양의 기운답게 밝은 기운으로 많은 사람의 주목을 한꺼번에 받는 것이 바로 병화의 기운이다. 활발하고, 뜨겁고, 진취적인 성향으로 대중의 주목과 인기를 한꺼번에 받는 것이 병화의 특성이다. 높게 뜬 태양이 모든 사람의 이목을 끌듯이, 무대에 올라 주목.. 2024. 1. 13.
乙 을목 일간, 을목의 개요와 특성 乙을목의 개요와 특성 천간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특성: 음 / 목 완연한 봄 부드럽고 유연하며 강하게 확장하는 힘이다. 을목은 옆으로 퍼지는 기운이다. 갑목이 저항을 뚫고 위로 올라가는 맹목적인 힘이라면, 을목은 옆으로 완연하게 퍼지는 힘이다. 화살표의 방향이 ↑ 에서 →으로 바뀌는 것이다. 을목의 성질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물상이 덩굴식물이다. 걸림돌을 만나면 옆으로 퍼져 나가며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덩굴식물의 모습은 을목의 정체성을 잘 보여 준다. 덩굴식물의 힘 갑목과 을목은 모두 오행 목에 해당한다. 다른 점은 갑목이 양의 기운을 가지고 있고, 을목이 음의 기운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즉 둘은 본질은 같지만, 표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양의 방식으로 인해.. 2024. 1. 12.
甲 갑목 일간, 갑목의 개요와 특성 천간을 설명할 때 천간 10개를 오행으로 나누었다. 갑을은 목, 병정은 화, 무기는 토, 경신은 금, 임계는 수 기운이다. 오행의 색은 목은 초록색, 화는 붉은색, 토는 황토색, 금은 흰색, 수는 검정색이다. 甲갑목의 개요와 특성 천간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특성: 양/목/초봄. 견고하고, 하늘을 찌를 듯이 웅장한 힘이다. 갑목은 저항을 뚫고 위로 솟구쳐 오르려는 기운이다. 갑목을 흔히 '굳은 나무'라고 하는데, 더욱 정확한 물상적인 표현으로는, 초봄에 언 땅을 뚫고 위로 솟구치는 나무, 중력을 거스르고 하늘로 솟구치며 성장하는 나무에 해당한다. 나무라는 형상보다 그 힘에 집중해야 하는데, 영어로 spring (봄)이라는 단어와 어울리며, 기호로는 위로 솟구치는 화살표↑에 해당한다. 솟구치는 진취.. 2024.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