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화丙火(양화)과 정화丁火(음화)의 특성 비교
火 화의 특성· 방위 : 남쪽· 계절 : 여름· 행성 : 화성· 색 : 적· 오장육부 : 심·소장· 성질 : 역동성, 정열, 열정, 모험· 성향 : 경쟁적, 리더십, 강인함, 일편단심, 사랑, 정신, 신비, 영적 교류 화(火)를 바라보면 뜨겁다, 밝다는 생각이 떠오른다. 우리 주위에서 명랑, 쾌활 등등 화(火)의 성질을 흔히 사용하고 있기에 화 (火)의 물상은 쉽게 찾을 수 있다. 화(火)는 군자가 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덕목 중에서 예(禮)를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화(火)의 정기를 받은 사람들은 예의를 알고 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한다. 또한, 불처럼 명랑하고 쾌활하며 사람에 따라서는 화도 잘 낸다. 남을 위해 빛을 내어주니 희생정신도 있다. 태양을 보면 항상 혼자 자존심이 강하기도 하고 고독하기..
2025. 10. 6.
갑목甲木(양목)과 을목乙木(음목)의 특성 비교
木목의 특성 방위 : 동쪽 계 절 : 봄 행 성 : 목성 색 : 청·녹 오장육부 : 간·담 성 질 : 인자함, 따뜻함, 설득, 협동, 성장 성 향 : 이상적, 윤리적, 성장욕, 야망 목(木)은 단순하게 나무를 뜻하는 글자이다. 물론 일반적인 나무를 떠올려도 좋고 통나무를 떠올려도 좋은데, 한 가지 명심할 것 은 나무가 상징하는 성질이다. 나무가 가지고 있는 성격을 표현했을 뿐 나무라는 실체만을 떠올리면 안 된다. 즉, 나무를 떠올리면 생각나는 비슷비슷한 성질의 형체가 없는 무형의 기운이라고 보면 된다. 목(木)이라는 기운은 하늘 위로 성장하고 싶어 한다. 위로만 성장하려 하니 앞을 좋아하고 미래지향적이다. 성장하려는 의미 그대로 직선적인 형태의 기운이 있고, 그로 인해 경쟁구도를 좋아한다. 좋아한다고 하..
2024. 2. 25.
음과 양, 오행. 우주를 움직이는 5가지 기운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음양이라는 개념은 어둠과 빛의 구분에서 시작되었다. 누구나 관찰할 수 있는 밤과 낮, 겨울과 여름, 어둠과 밝음의 대립에서 출발한 이 개념은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의미로 발전한다. 음은 없는 것에서 가만히 머물러 있는 기운이 아니다. 하강하려는 힘을 의미하고, 비워 내려는 운동성을 상징한다. 즉, 음은 끊임없이 양과 교류하면서 양의 기운을 흡수해 힘을 응축한다. 양은 채워진 것에서 가만히 머물러 있는 기운이 아니다. 상승하려는 힘을 의미하고, 채우려는 운동성을 상징한다. 즉, 양은 끊임없이 음과 교류하면서 음의 기운을 양분 삼아 힘을 발산한다. 음양의 특성 음(陰)의 특성 - 사고 지향적, 현재의 가치 중시, 내향적, 수동성, 실리(힘, 세력 존중), 여성, 왼쪽, 가을, 겨..
2024. 1. 28.
壬 임수일간, 임수의 개요와 특성
壬 임수의 개요와 특성 천간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 특성: 양 / 수 초겨울. 넉넉하게 포용하는 힘이다. 임수는 응집된 기운을 해체하고 풀어놓는 힘이다. 임수를 물상적으로 "바다"라고 하는데, 이는 임수의 넉넉함과 너그러움, 수용성에 주목한 표현이다. 경금과 신금을 거쳐 하나로 완성된 기운은, 임수의 단계에 오면 그 형체를 잃고 풀어진다. 끝으로 향하기 위한 과정이다. 임수의 본질은 모든 것을 일단 받아들이는 포용성에 있다. 내 것과 남의 것, 옳은 것과 그른 것,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가리지 않고 받아들인다. 포용의 힘 임수의 가장 큰 특징은 포용력이다. 사람, 일, 세상사 모두를 자신의 그릇 안에 끌어안을 수 있는 것이 임수이다. 사람들을 모으고, 책을 사 모으고, 정보를 모아서 끌어안는 것..
2024.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