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병화丙火(양화)과 정화丁火(음화)의 특성 비교 火 화의 특성· 방위 : 남쪽· 계절 : 여름· 행성 : 화성· 색 : 적· 오장육부 : 심·소장· 성질 : 역동성, 정열, 열정, 모험· 성향 : 경쟁적, 리더십, 강인함, 일편단심, 사랑, 정신, 신비, 영적 교류 화(火)를 바라보면 뜨겁다, 밝다는 생각이 떠오른다. 우리 주위에서 명랑, 쾌활 등등 화(火)의 성질을 흔히 사용하고 있기에 화 (火)의 물상은 쉽게 찾을 수 있다. 화(火)는 군자가 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덕목 중에서 예(禮)를 담당한다. 기본적으로 화(火)의 정기를 받은 사람들은 예의를 알고 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한다. 또한, 불처럼 명랑하고 쾌활하며 사람에 따라서는 화도 잘 낸다. 남을 위해 빛을 내어주니 희생정신도 있다. 태양을 보면 항상 혼자 자존심이 강하기도 하고 고독하기.. 2025. 10. 6.
갑목甲木(양목)과 을목乙木(음목)의 특성 비교 木목의 특성 방위 : 동쪽 계 절 : 봄 행 성 : 목성 색 : 청·녹 오장육부 : 간·담 성 질 : 인자함, 따뜻함, 설득, 협동, 성장 성 향 : 이상적, 윤리적, 성장욕, 야망 목(木)은 단순하게 나무를 뜻하는 글자이다. 물론 일반적인 나무를 떠올려도 좋고 통나무를 떠올려도 좋은데, 한 가지 명심할 것 은 나무가 상징하는 성질이다. 나무가 가지고 있는 성격을 표현했을 뿐 나무라는 실체만을 떠올리면 안 된다. 즉, 나무를 떠올리면 생각나는 비슷비슷한 성질의 형체가 없는 무형의 기운이라고 보면 된다. 목(木)이라는 기운은 하늘 위로 성장하고 싶어 한다. 위로만 성장하려 하니 앞을 좋아하고 미래지향적이다. 성장하려는 의미 그대로 직선적인 형태의 기운이 있고, 그로 인해 경쟁구도를 좋아한다. 좋아한다고 하.. 2024. 2. 25.
음과 양, 오행. 우주를 움직이는 5가지 기운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음양이라는 개념은 어둠과 빛의 구분에서 시작되었다. 누구나 관찰할 수 있는 밤과 낮, 겨울과 여름, 어둠과 밝음의 대립에서 출발한 이 개념은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의미로 발전한다. 음은 없는 것에서 가만히 머물러 있는 기운이 아니다. 하강하려는 힘을 의미하고, 비워 내려는 운동성을 상징한다. 즉, 음은 끊임없이 양과 교류하면서 양의 기운을 흡수해 힘을 응축한다. 양은 채워진 것에서 가만히 머물러 있는 기운이 아니다. 상승하려는 힘을 의미하고, 채우려는 운동성을 상징한다. 즉, 양은 끊임없이 음과 교류하면서 음의 기운을 양분 삼아 힘을 발산한다. 음양의 특성 음(陰)의 특성 - 사고 지향적, 현재의 가치 중시, 내향적, 수동성, 실리(힘, 세력 존중), 여성, 왼쪽, 가을, 겨.. 2024. 1. 28.
사주의 기원과 명칭, 입문 용어 한 사람의 과거와 현재를 읽고 미래를 예견한다는 점에서 사주는 너무나도 치명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다 . 그 단순한 유혹에 매료되면 길흉화복만을 추구하고 혹세무민에 빠질 수도 있다. 이에 초학자들이 신비와 과학 혹은 학문과 미신 사이에서 길을 잃지 않기를 바라며 사주명리의 기원, 즉 그 학문적 뿌리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고자 한다. 사주명리의 기원 사주란 단어는 흔히 들을 수 있지만, 정확한 의미를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다. 사주는 4개의 기둥[四柱]이란 뜻으로 태어난 연월 일시를 말한다. 하나의 기둥마다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니 모두 합치면 여덟 글자여서 사주팔자(四柱八字)인데, 사주라고도 하고 팔자 라고도 한다. 그리고 사주를 통해 각자가 부여받은 천명을 연구하는 학문을 사주학, 명리학, 사주명리학.. 2024. 1. 27.
명리와 서양 점성술의 접근 방식과 해석 차이점 명리와 서양 점성술 소개 이 섹션에서는 명리와 서양 점성술의 기본 개념을 소개합니다. 두 가지 접근법의 기원과 주요 원리를 비교하고, 서로 다른 문화와 철학적 배경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명리는 중국의 고대 사상으로, 운명과 에너지를 중점적으로 탐구합니다. 반면 서양 점성술은 별자리와 행성의 위치를 기반으로 우주적 영향을 해석합니다. 명리의 접근 방식 명리는 '팔자(八字)'를 중심으로 개인의 운명을 분석합니다. 팔자는 개인의 출생 연도, 월, 일, 시를 기준으로 한 총 팔 글자로, 각 글자가 특정한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개인의 운명을 해석합니다. 이는 인간관계, 건강, 직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운명을 이해하는 데 활용됩니다. 명리는 또한 '팔면체(八門遁甲)'라고도 하는데, 이는 시간과 .. 2024. 1. 24.